본문 바로가기
정보보안

🔐 네트워크 스푸핑과 서비스 거부 공격(DDoS)의 모든 것

by 노아입니다 2025. 4. 7.

🔐 네트워크 스푸핑과 서비스 거부 공격(DDoS)의 모든 것

인터넷과 네트워크는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웹사이트를 보고, 메신저로 대화를 나누고, 클라우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든 순간, 보이지 않는 곳에서 다양한 보안 위협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오늘은 ‘스푸핑(Spoofing)’‘서비스 거부 공격(DDoS)’이라는 두 가지 주요 보안 위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 스푸핑(Spoofing) 공격이란?

🧠 개념 정리

스푸핑(Spoofing)이란 공격자가 자신을 다른 사람이나 시스템으로 속여 정보를 빼내거나, 네트워크를 교란시키는 공격 기법입니다. 쉽게 말해, ‘사칭’입니다. 예를 들어, 공격자가 "나는 공유기야!" 라고 속여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가로채는 방식이죠.

스푸핑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 주요 스푸핑 공격 유형

🔹 1. ARP 스푸핑 (Address Resolution Protocol Spoofing)

📌 ARP 프로토콜이란?
로컬 네트워크(LAN)에서는 IP 주소와 MAC 주소를 연결하는 데 ARP 프로토콜이 사용됩니다. 컴퓨터가 IP 주소를 알지만 MAC 주소를 모를 때 ARP 요청을 보내고, 해당 IP를 가진 장비가 MAC 주소를 응답해주는 방식이죠.

📌 공격 방식
공격자는 자신을 공유기 혹은 다른 장비인 것처럼 속여 피해자의 ARP 테이블을 조작합니다. 결과적으로, 피해자는 공격자에게 데이터를 보낸 뒤 공유기나 인터넷으로 나가는 구조가 됩니다.

📌 목적

  • 트래픽 탈취 및 분석 (패스워드, 쿠키 등)
  • 중간자 공격(MITM)
  • 세션 하이재킹

📌 대응 방법

  • 정적 ARP 테이블 사용
  • ARP 감시 도구 활용 (예: ARPWatch)
  • 스위치 보안 기능 활성화 (예: Dynamic ARP Inspection)

🔹 2. IP 스푸핑 (IP Spoofing)

📌 개념
IP 패킷의 출발지 주소(Source IP)를 조작하여 다른 시스템에서 보낸 것처럼 속이는 기법입니다. 마치 발신자 번호를 위조해 문자를 보내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죠.

📌 목적

  • 방화벽 우회
  • 인증 우회
  • DDoS 공격 시 신원 은폐

📌 예시
TCP/IP 기반의 시스템 중 IP 기반 인증을 사용하는 경우, 공격자는 허용된 IP로 가장하여 접근 권한을 얻습니다.

📌 대응

  • 패킷 필터링 (Ingress/Egress)
  • IPsec 등 암호화된 통신 사용
  • 무결성 검증 및 인증 강화

🔹 3. ICMP 스푸핑 (Ping Spoofing)

📌 ICMP란?
ICMP는 네트워크 상태 확인에 쓰이는 프로토콜로, 흔히 ping 명령어로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공격 방식
공격자는 ICMP 메시지를 위조하여 네트워크를 교란시키거나, 대상 시스템이 불필요한 자원을 소비하게 만듭니다.

📌 대표적 공격: Smurf Attack

  • 공격자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ICMP 요청을 보내고, 출발지 IP를 피해자의 IP로 설정합니다.
  • 수많은 응답이 피해자에게 쏟아져 서비스 거부 상황이 발생합니다.

📌 대응

  • 브로드캐스트 ICMP 트래픽 차단
  • 방화벽으로 ICMP 응답 필터링

🔹 4. DNS 스푸핑 (또는 DNS 캐시 포이즈닝)

📌 DNS란?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google.com을 입력하면 실제 서버 IP 주소로 연결됩니다.

📌 공격 방식
DNS 요청에 대한 응답을 위조하거나, DNS 서버에 잘못된 정보를 저장(포이즈닝)시켜 사용자를 가짜 사이트로 유도합니다.

📌 예시

  • 사용자가 bank.com에 접속하려고 했지만, 공격자가 만든 피싱 사이트로 연결됨
  • 로그인 정보 탈취, 악성코드 배포 등

📌 대응

  • DNSSEC 사용
  • 보안된 DNS 리졸버 사용 (예: 1.1.1.1, 8.8.8.8)
  • DNS 캐시 무결성 검사

🧨 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이란?

🧠 개념 정리

DDoS서비스 거부 공격(DoS)의 한 형태로, 분산된 여러 컴퓨터(좀비PC)를 이용해 대량의 트래픽을 특정 서버나 네트워크에 집중적으로 보내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입니다.

  • DoS: 하나의 장비에서 서버에 과부하를 주는 공격
  • DDoS: 다수의 장비(보통 감염된 컴퓨터들, 즉 봇넷)를 이용한 대규모 공격

🛠️ DDoS 공격 방식의 종류

유형 설명
SYN Flood TCP 3-way 핸드셰이크에서 마지막 ACK를 보내지 않아 세션이 반쯤 열린 채 서버 자원만 소비
UDP Flood 무작위 포트로 UDP 패킷을 보내 서버가 응답을 시도하면서 자원을 소모
ICMP Flood 대량의 ping 요청을 보내 대상 시스템을 다운시키는 방식
HTTP Flood 정상적인 HTTP 요청을 반복적으로 보내 웹서버 과부하 유발
Amplification Attack 작은 요청으로 큰 응답을 유도하는 서비스(DNS, NTP 등)를 악용해 피해자에게 폭탄을 떨어뜨리는 방식

⚠️ DDoS의 실제 피해 사례

  • 2020년, 뉴질랜드의 Kiwibank, ANZ 등 주요 은행 서비스 중단
  • 2016년 Dyn DNS 서비스 DDoS 공격 → Twitter, Netflix 등 글로벌 서비스 장애
  • 국내 게임 서버 및 포털 사이트 주말마다 공격 당함 (특히 오픈베타 시기)

🛡️ DDoS 방어 전략

전략 설명
트래픽 필터링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사전에 필터링하는 기능
WAF(Web Application Firewall) 웹 어플리케이션 단의 공격 탐지 및 차단
CDN 활용 콘텐츠를 분산시켜 서버에 집중되는 트래픽 완화
서버 확장 및 자동 스케일링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를 통해 대응
전용 Anti-DDoS 서비스 Cloudflare, AWS Shield, Akamai 등의 솔루션 이용

✅ 마무리: 스푸핑 vs DDoS

항목 스푸핑 DDoS
목적 정보 탈취, 권한 상승 서비스 마비
공격 방식 위조된 정보 전송 대량 트래픽 전송
대상 사용자, 서버, 네트워크 장비 웹 서버, 네트워크 인프라
대응 방식 인증 강화, 패킷 분석 트래픽 제어, 방화벽, CDN

✍️ 마무리하며

스푸핑과 DDoS는 다르지만, 서로 결합해 더 큰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조합입니다. 예를 들어, IP 스푸핑을 통해 신분을 위장한 뒤 DDoS 공격을 수행하는 식이죠.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와 기업은 이러한 보안 위협을 정확히 이해하고, 기본적인 보안 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좋아요 부탁드려요!
질문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보안 1 주차  (2) 2025.03.10